Security/AWS Certification

[AWS SAA] AWS Route 53 란? (응용)

보안콩 2024. 9. 17. 19:42

Route 53 라우팅 (응용) 개요

Amazon Route 53은 웹 트래픽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라우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책을 제공합니다. 주요 정책으로는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(Latency-based Routing), 가중치 기반 라우팅(Weighted Routing), 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(Geolocation Routing)이 있습니다. 각각의 정책에 대한 예제 문제를 통해 구분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

1. 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(Latency-based Routing)

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은 사용자의 요청을 가장 낮은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AWS 리전으로 라우팅합니다. 이는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예제 문제: 한 글로벌 금융 회사는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리전으로 웹 트래픽을 라우팅하려고 합니다. 사용자는 전 세계에 분포해 있으며, 트래픽은 사용자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AWS 리전으로 라우팅되어야 합니다. 가장 적합한 라우팅 정책은 무엇입니까?

  • A) 단순 라우팅(Simple Routing)
  •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(Latency-based Routing)
  • C) 가중치 기반 라우팅(Weighted Routing)
  • D) 장애 조치 라우팅(Failover Routing)

정답: B
해설: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은 사용자 위치에서 가장 짧은 지연 시간(레이턴시)을 제공하는 리전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여 최적의 성능을 보장합니다.


2.  가중치 기반 라우팅 (Weighted Routing)

가중치 기반 라우팅은 각 리소스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여 트래픽을 비율적으로 분배합니다. 특정 리소스의 처리량을 조정하거나 트래픽을 테스트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.

 

예제 문제: 한 뉴스 웹사이트는 웹 트래픽을 유럽과 북미 리전에 배포하고 있습니다. 각 리전에 대해 트래픽 비율을 70:30으로 조절하려고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이 가장 적합합니까?

  • A) 단순 라우팅(Simple Routing)
  •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(Latency-based Routing)
  • C) 가중치 기반 라우팅(Weighted Routing)
  • D)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(Geolocation Routing)

정답: C
해설: 가중치 기반 라우팅은 각 리소스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여 트래픽을 비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습니다. 이 문제에서는 유럽과 북미 리전에 대해 트래픽을 70:30 비율로 나누는 데 적합합니다.


3.  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 (Geolocation Routing)

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은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(국가, 대륙 등)에 따라 트래픽을 라우팅합니다. 특정 위치의 사용자에게만 맞춤형 콘텐츠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용합니다.

 

예제 문제: 한 학술 기관은 특정 지역의 사용자에게만 특정 웹 페이지를 제공하려고 합니다. 이를 위해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정책은 무엇입니까?

  • A) 가중치 기반 라우팅(Weighted Routing)
  •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(Latency-based Routing)
  • C) 장애 조치 라우팅(Failover Routing)
  • D)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(Geolocation Routing)

정답: D
해설: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은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. 특정 지역의 사용자에게만 특정 웹 페이지를 제공하려면 이 라우팅 정책을 사용합니다.


추가 예제 문제

각 정책을 이해하고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추가 예제 문제들을 제공합니다.

  1. 문제 1 (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): 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전 세계의 사용자에게 최적의 스트리밍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, 사용자의 요청을 가장 가까운 AWS 리전으로 라우팅하려고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이 필요합니까?
    • 정답: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
  2. 문제 2 (가중치 기반 라우팅): 한 전자상거래 회사는 주문 접수 서버 두 대를 운영하고 있으며, 트래픽을 60%는 서버 A로, 40%는 서버 B로 보내고자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을 선택해야 합니까?
    • 정답: C) 가중치 기반 라우팅
  3. 문제 3 (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): 한 글로벌 기업은 각 대륙에 하나씩의 리전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중입니다. 각 대륙의 사용자들이 가장 가까운 리전으로 트래픽을 보내기 위해서는 어떤 라우팅 정책이 필요합니까?
    • 정답: D)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
  4. 문제 4 (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): 한 금융 서비스 회사는 고객이 거래를 수행할 때 가장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리전으로 트래픽을 자동으로 라우팅하고 싶습니다. 어떤 정책을 사용해야 합니까?
    • 정답: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
  5. 문제 5 (가중치 기반 라우팅): 한 소프트웨어 회사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소수의 사용자에게 먼저 배포하고, 나머지 사용자에게는 기존 기능을 제공하고자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이 필요합니까?
    • 정답: C) 가중치 기반 라우팅
  6. 문제 6 (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): 한 온라인 콘텐츠 제공자는 특정 국가에서만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고, 다른 국가의 사용자는 차단하려고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이 가장 적합합니까?
    • 정답: D)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
  7. 문제 7 (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): 한 글로벌 뉴스 사이트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할 때 최적의 응답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로 라우팅하고자 합니다. 어떤 정책을 선택해야 합니까?
    • 정답: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
  8. 문제 8 (가중치 기반 라우팅): 한 게임 회사는 새로운 게임 서버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전체 트래픽의 10%만 새 서버로 라우팅하고자 합니다. 어떤 라우팅 정책이 적합합니까?
    • 정답: C) 가중치 기반 라우팅
  9. 문제 9 (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): 한 기업은 미국 내 사용자가 특정 미국 서버로, 아시아 사용자들은 아시아 서버로 자동으로 트래픽이 라우팅되기를 원합니다. 어떤 정책이 필요합니까?
    • 정답: D) 지리 위치 기반 라우팅
  10. 문제 10 (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): 한 글로벌 광고 플랫폼은 광고 요청을 처리할 때 사용자가 가장 빠른 속도로 응답을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센터로 라우팅하려고 합니다. 어떤 정책을 사용할까요?
    • 정답: B)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

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

  •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(Latency-based Routing): 최적의 응답 시간을 위해 가장 가까운 리전으로 트래픽을 보냅니다.
  • 가중치 기반 라우팅 (Weighted Routing): 각 리소스에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트래픽을 비율적으로 분배합니다.
  • 지리적 위치 기반 라우팅 (Geolocation Routing):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에 따라 트래픽을 라우팅합니다.

이제 각 정책의 사용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고, 문제의 시나리오에 맞는 정책을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!